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미 연준, 테이퍼링 중지와 조기금리인상 가능성을 비치다
    해외주식 이야기/해외주식 핫이슈 2022. 1. 6. 14:20
    728x90
    반응형

    미국의 금리조정 소식은 미국만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느 카테고리에 넣어야하나 고민하다 미국내에서 일어난 일이니 미국 카테고리에 넣게되었습니다.

     

    미국연준의 조기금리인상 가능성을 예측하는 기사가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미 연준이 예상보다 빨리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양적긴축에 나설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연준이 공개한 정례회의 의사록에

    "경제, 노동시장, 인플레이션 전망을 고려할때 앞서 예상했던것보다 더 빠르게 금리를 올려야 할 수도 있다."

    고 언급했습니다.

     

    테이퍼링 종료를 3월로 앞당기고 3월부터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비치고 있습니다.

     

    연준은 생각보다 인플레이션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듯 합니다.

     

    시장에서는 이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지만 제 생각은 약간 다릅니다.

     

    금리인상은 이미 예견된 수순이였다.

    금리인상은 이미 모두가 예상하던 순서입니다. 시중에 통화량이 급격하게 증가했기 때문에 금리를 올리는것은 정해진 수순이였습니다.

     

    작년부터 수많은 기사가 내년부터 금리를 3번이상 올릴것이라고 예상을 했는데

     

    선반영의 마법을 보여주는 주식시장은 이미 이 우려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지금의 이슈로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것은 말이 안됩니다.

     

     

    경제의 성장은 인플레와 함께한다.

    경제와 기술의 성장은 인플레이션과 함께합니다. 경제가 원활하게 돌며 신기술이 탄생하고 이는 서로 선순환 구조를 보이며 싸이클이 돌아갑니다.

     

    우리 아버지때 라면이 10원이였다면, 지금 라면 가격은 1000원입니다. 게다가 라면의 희소가치는 10원을때보다 훨씬 덜합니다.

     

    이처럼 성장과 인플레이션은 자연스러운 관계로 베네수엘라같은 급격한 인플레이션만 아니면 기본적인 성장과 함께하는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이롭습니다.

     

     

    하지만, 경제는 사람들의 심리로 움직이는법...

    앞으로의 경제가 어떻게 흘러갈지

    저도 너무 궁금합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