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톱을 드러낸 FED, 미국 금리인상 수혜주해외주식 이야기/해외주식 핫이슈 2021. 6. 17. 22:47728x90반응형
안녕하세요 야생너구리입니다.
한국시간 오늘 새벽 미국 FED(미국연방준비은행) 제롬파월 의장의 연설이 있었습니다.
제롬 파월 미국연방준비은행 의장 이번 연설에서 파월은 시장에 많은 시그널을 주었습니다.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오래 지속되고 리스크가 커질 가능성을 일축할 수 없습니다. 만약 우리의 목표보다 인플레이션이 높게. 지속적으로 올라간다면 우리는 주저하지 않고 대응할 예정입니다.
제롬 파월
FED는 미국의 인플레를 충분히 경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는 즉, 인플레이션이 강하게 발생한다면 FED가 바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말로 들립니다.
뿐만아니라 FED 위원들의 금리예측 점도표에서 2023년 금리인상을 예상하는 위원이 총 18명 중 13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코앞까지 다가온 금리인상시계 2023년 금리를 2번정도 인상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금리인상 시기와 횟수가 조금 더 빨라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현재 시중에 유동성은 전례없는 수준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서 경기가 침체되었고 이를 막기위해 막대한 유동성을 풀었는데, 코로나가 끝난다면 이 유동성을 회수해야합니다.
코로나19가 올해말이나 내년 중 종식된다고 가정한다면, 코로나 종식 후 억눌렸던 소비가 한번에 분출될 것입니다. 시중의 막대한 유동성과 억눌린 소비가 같이 분출함으로 인플레의 위험성이 더욱 가까워집니다.
저는 바로 이 시기가 미국의 1차 금리인상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예상하건데 이 시기는 2022~2023년도가 될것같습니다.
사실 미국은 지난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때 경기가 회복되다가 금리인상으로 다시 경기를 추락시킨적이 있습니다. 이때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위해서 시중의 유동성이 충분히 돌 시간을 고려하여 2023년에 금리인상을 점치는것같습니다.
하지만...인플레가 급격하게 일어난다면 일단 금리부터 올리고 봐야겠죠...?
금리 가즈아! 일단 금리 인상 시 증시는 하향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저는 이때가 매수 시기라고 봅니다.
금리인상에 살짝 시장이 출렁이고 시장이 다시 출발할때가 유동성에 의존하지 않는 진정한 경기부흥기일 것입니다. 이때의 상승은 지금까지 상승과는 비교할 수 없는 상승이 올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미국 금리인상 시 수혜받는 주식이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봤습니다.
1. 달러를 사라
주식보다는 달러를 챙기는게 필수입니다. 미국의 권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중국이라는 나라가 미국을 위협한다고 말은 하지만, 미국의 힘은 아직 건재합니다.
즉, 미국금리가 인상되면 시중의 유동성은 미국으로 빨려 들어가게 될 것이고. 많은 투자자들이 미국달러를 투자자산으로 선호하게됩니다.
미국 금리인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면 미국 달러가 급격하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미국 은행주, 보험주, 자산주
달러 강세가 찾아옴으로써 미국의 은행주와 자산주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국금리가 인상된다면 미국 은행과 보험회사들의 영업이익이 개선될것입니다. 예대마진의 상승으로 은행, 보험사들의 호황이 예상됩니다.
자산의 가치가 큰 회사들도 눈여겨 볼만 합니다. PER, PBR같은 정량적 지표상으로 저평가된 회사들의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3. 한국의 수출업종
위의 두가지는 달러환전과 미국주식을 운용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국한된 이야기라... 미국금리인상에 따른 한국의 수혜주들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달러로 결재를받는 수출업종들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자동차, 반도체, 철강, 조선 등 달러화 결재가 수시로 이뤄지는 업체들의 이익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달러가치의 상승으로 환차익 발생 가능성을 점쳐봅니다.
환율변동을 방지하기위한 금융상품을 보유중인 회사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잘 알아보고 투자하셔야합니다.
수출업종 뿐만아니라 미국국채를 많이 보유중인 한국 회사들도 투자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공감, 댓글, 이웃신청은 좋은 글을 작성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728x90반응형'해외주식 이야기 > 해외주식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마다 듣는 유튜브 경제방송 (0) 2022.04.07 미국도 한국처럼 z세대가 부를 얻기 힘든가보다 (0) 2022.04.04 원자재 쇼크로 차량 가격이 오르고있다. (0) 2022.03.18 미국연준의 금리인상이 시작되었다. (0) 2022.03.17 미 연준, 테이퍼링 중지와 조기금리인상 가능성을 비치다 (0) 2022.01.06